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gitlab 잔디옮기기
- AWS S3 migration
- RedisJSON
- 잔디이전
- redis-cli
- Window redis-cli
- AWS S3 계정이동
- putty Inactive
- AWS S3 버킷 삭제
- 한 번에 끝내는 AWS 인프라 구축과 DevOps 운영 초격차 패키지 Online
- 패캠챌린지
- aws
- redis cli
- 캐시백챌린지
- elastic cache
- aws s3
- Avast Security
- ERR unknown command 'JSON.SET'
- ERR unknown command 'JSON.GET'
- Redis
- 환급챌린지
- 캐시백
- nodemailer
- Ngrinder Docker
- vscode
- 직장인자기계발
- 직장인인강
- 패스트캠퍼스후기
- 패스트캠퍼스
- Avast 구독취소
- Today
- Total
목록Devops (68)
Developing

도커 컨테이너의 구조와 포트 노출, 네트워크와 관련된 클립을 수강하는식으로 챌린지를 진행하였다. 흔하게 접하던 내용은 아니라 집중해서 들었고 bridge,host,none network에 대해서 알 수 있었다. 유독 이번포스팅은 miro를 활용할 일이 많았다..ㅎㅎ;; 지난 7주동안 성공적으로 챌린지는 진행된 것 같고 이제 얼마 안남았으니 조금 더 기운을 내보려고한다..^^;; 다음 포스팅으로는 Docker Container 볼륨과 관련된 내용을 포스팅할 예정이다. 도커 컨테이너 구조 도커컨테이너를 사용할때 사용할 네트워크를 지정할 수 있는데, 지정하지 않으면 기본적으로 생성되는 docker0라는 브릿지 네트워크를 사용한다. veth: virtual eth docker0: 도커 엔진에의해 생성되는 기본 ..

엔트리포인트,커맨드 및 환경변수와 docker exec에 관련된 클립들을 수강하는식으로 챌린지를 진행하였다. 기존에 docker exec 명령어로 컨테이너에 접속하는 정도는 알고있었는데 env 내역까지 확인할 수 있다는 것은 처음 알게되었다.docker inspect도 어떤식으로 사용해서 보는지 알 수 있었다. docker hub에 공식 이미지 문서를 보면 환경변수설정에 따라 다르게 동작한다고 하는데 참고하는데에 많은 도움이 될 것 같다. 다음 포스팅으로는 도커 네트워크와 컨테이너 포트와 관련된 내용을 포스팅할 예정이다. 엔트리포인트 도커 컨테이너가 실행할 때 고정적으로 실행되는 스크립트 혹은 명령어 생략할 수 있으며, 생략될 경우 커맨드에 지정된 명령어로 수행 커맨드(Command) 도커 컨테이너가 실..

도커 컨테이너 라이프사이클, image 및 container과 관련된 클립들을 수강하는식으로 챌린지를 진행하였다. 이제 어느정도 docker개념이나 Command가 익숙해진 것 같다. docker stop $(docker ps -a -q) 같은 명령어나 docker container prune 같은 명령어는 엄청난 꿀팁인 것 같았다. 항상 느끼는거지만 간결하고 자세하게 설명해주셔서 Senior기운이 느껴진다..ㅎㅎ 다음 포스팅으로는 엔트리포인트 커멘드,환경변수 등과 관련된 내용을 포스팅할 예정이다. 도커 구성요소 docker 명령어가 Client 역할을 수행 docker daemon(docker-engine)이 우분투에 설치되어있고, docker engine이 띄워져있는 서버를 DOCKER_HOST 라고..

kubectl, kustomize, minikube 설치와 관련된 클립을 수강하는식으로 챌린지를 진행하였다. yaml 파일에서 어떤식으로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동작하는지 잘 설명해주셔서 쉽게 이해갔던 것 같다. t3 small 요금제를 사용하는것이 용량이 살짝 부족할 수도있다고 하고 command로도 경고를 주지만 실습하는데에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아서 사용해도 된다고 한다. 다음 포스팅은 도커 이미지/컨테이너 및 라이프사이클에 관련된 내용을 포스팅 할 예정이다. Kubectl 소개 Kubernetes를 위한 Command line 도구 Kubernetes의 API 서버와 통신하여 사용자 명령을 전달할 수 있음 Kubectl 설치 (Ubuntu) 공식 가이드 라인 : https://kubernetes.io/..

Docker/Kubernetes Part쪽으로 넘어와서 docker/docker-compose 설치하는 부분의 클립을 수강하는식으로 챌린지를 진행하였다. terraform과 관련된 클립도 있기에 혹시 terraform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면 못듣는파트인가 싶어서 먼저보고왔는데 terraform을 활용해서 aws실습환경을 코드로 올인원으로 쉽게 관리하는 내용이어서 굉장히 신기했다. 굳이 terraform 파트쪽을 먼저 다 보고오지 않아도 Docker쪽 파트를 수강할 수 있을 것 같아서 현행대로 가려고 한다. 특히 이 파트오면서 Senior님의 기운이 강력하게 느껴져서 안정감이 많이 들었다. 빠르게 강의를 보고싶다는 생각이 들정도로..ㅎㅎ github discussion도 따로 운영하시기에 한결 마음이 놓이..

MSA 도메인 개발 도입부와 도커에 관한 클립을 수강하는식으로 챌린지를 진행하였다. MSA 파트를 잠깐 들어보고 Docker쪽을 먼저 수강하기로 결심을 하게 되었다. 처음에 이 강좌를 왜 신청했었는지를 곰곰하게 생각하였을때 도커/쿠버네티스쪽 파트에 더 관심이 있었던 것 같고 해당 파트를 맡으시는분이 유명한 기업의 SRE쪽을 담당하셔서 신뢰감이 많이 갔기때문이었다. 얕게 다양한것들을 다루는 내용의 파트를 보는것보다 세부내용들을 깊이있게 다루고나서 MSA 파트로 다시 넘어가는것이 현명하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따라서 기존에 생각하였던 MSA쪽의 포스팅예정을 바꾸고 도커쪽으로 포스팅을 하게 될 것이다. MSA 도메인 개발 일부분(이후에 도커파트쪽으로 넘어갈 예정) 강좌에서 기존에 AWS EC2에서 작업하던것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