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한 번에 끝내는 AWS 인프라 구축과 DevOps 운영 초격차 패키지 Online
- ERR unknown command 'JSON.GET'
- Window redis-cli
- AWS S3 계정이동
- RedisJSON
- Avast Security
- 잔디이전
- 패스트캠퍼스
- 환급챌린지
- 직장인인강
- elastic cache
- 직장인자기계발
- Redis
- 패스트캠퍼스후기
- ERR unknown command 'JSON.SET'
- gitlab 잔디옮기기
- 패캠챌린지
- redis-cli
- 캐시백
- 캐시백챌린지
- Ngrinder Docker
- aws s3
- redis cli
- AWS S3 migration
- vscode
- Avast 구독취소
- putty Inactive
- AWS S3 버킷 삭제
- aws
- nodemailer
- Today
- Total
목록Devops (68)
Developing

Deployment api resource와 관련된 내용의 클립을 수강하는식으로 챌린지를 진행하였다. maxSurge,maxUnavailable의 속성을 어떻게 설정해주냐에 따라서 파드가 업데이트 되는 방식의 차이가 생긴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rollback 기능을 활용하는 방법에 대해서도 알 수 있었다. 다음 포스팅으로는 Service api resource와 관련된 내용을 포스팅 할 예정이다. 디플로이먼트 파드의 이미지 버전이 갱신될 때 배포 전략을 설정 디플로이먼트 오브젝트를 생성하면 대응되는 ReplicaSet과 Pod 자동 생성 기본적으로 Recreate 전략과 RollingUpdate 전략 지원 사용자는 특수한 목적이 아니라면 파드와 레플리카셋이 아닌 디플로이먼트로 워크로드 관리 ⇒ 서비스..

Replicaset과 관련된 내용의 클립을 수강하는식으로 챌린지를 진행하였다. 지금까지의 내용을 토대로하면 k8s에서는 컨테이너를 pod를 통해 관리하고, 이 pod 갯수를 늘릴때 ReplicaSet으로 관리한다고 한다. 그리고 짐작하건데 다음내용으로 배울 deployment가 replicaset을 관리하게 되는 것 같아 보인다. 쉽지는 않지만 그래도 할만한 것 같다.. 다음 포스팅으로는 Deployment API Resource와 관련된 내용을 포스팅 할 예정이다. 레플리카셋(ReplicaSet) 파드의 수를 늘릴때 사용하는 API 리소스 정해진 수의 파드가 항상 실행될 수 있도록 관리 기존 실행중이던 다프에 문제가 생기면 파드를 다시 스케줄링 ReplicationController의 신규 버전(현재는..

Kubectl 명령형(Imperative), 선언형(Declarative) 명령형과 Pod에 관한 클립들을 수강하는식으로 챌린지를 진행하였다. Kubernetes는 경험이 전무하다보니 아직은 낯설지만 명령어들에 조금씩 익숙해지고있다. Pod부분의 개념이 아직까지는 어렵게 느껴지는듯하다..;; 다음 포스팅으로는 ReplicaSet과 관련된 내용을 포스팅 할 예정이다. Kubectl 사용 명령형(Imperative) 수행하고자 하는 액션을 지시 적은 리소스에 대해서 빠르게 처리 가능 여러 명령어를 알아야 함 선언형(Declarative) 도달하고자 하는 상태(Desired State)를 선언 코드로 관리 가능 → GitOps 활용 가능 ⇒ 변경사항에 대한 감사(Audit) 용이 ⇒ 코드리뷰를 통한 협업 멱등..

Kubernetes cluster 구성요소와 API resource 관련된 내용의 클립들을 수강하는식으로 챌린지를 진행하였다. kubectl explain 명령어로 각 API 리소스에 대해 알고싶을때 확인할 수 있다는 것도 알게되었고, manifest 파일의 Rootkey가 각각 어느 용도로 사용되는지도 알 수 있었다. 다음 포스팅으로는 kubectl 명령형과 선언형 방식과 관련된 내용을 포스팅할 예정이다. 쿠버네티스 클러스터 구성요소 클러스터 구성 Control Plane(Master Node) ⇒ 클러스터의 관리하는 역할 담당 ⇒ 상태 관리 및 명령어 처리 Node(Worker Node) ⇒ 어플리케이션 컨테이너 실행 제어 영역(Control Plane) API Server ⇒ 쿠버네티스 리소스와 클..

쿠버네티스의 개요와 배포판과 관련된 내용의 클립들을 수강하는식으로 챌린지를 진행하였다. 9주차에 접어들게 되었는데 k8s에 관련된 포스팅을 하다가 다음주중으로 챌린지는 종료될듯하다. orchestration system에 관한 설명을 다시금 상기시킬 수 있었고 쿠버네티스를 실무에서 도입할 때 주의사항도 알 수 있었다. 다음 포스팅으로는 k8s cluster 구성요소와 관련된 내용을 포스팅할 예정이다. 쿠버네티스 소개 구글 내부에서 사용하던 배포시스템 borg를 기반으로 재작성하여 2014년에 오픈소스로 공개 CNCF(Cloud Native Computing Foundation)라는 오픈소스 재단에 기부됨 가장 대표적인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 시스템 : 사실상 표준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 시스템 컨테이너의..

Docker Compose를 활용해서 Grafana와 MYSQL을 구성하는 내용의 클립을 수강하는식으로 챌린지를 진행하였다. grafana만 단독으로 services를 갖는 container를 띄우고 grafana와 mysql을 연동하는 container를 운영해보는식으로 depends on 옵션이 어떤식으로 사용되는지 명확하게 알 수 있어서 좋았다. Docker에 관한 내용은 여기까지이고 다음 포스팅으로는 Kubernetes의 개요에 관한 내용을 포스팅할 예정이다. Grafana 구성하기 Grafana의 3000번 포트는 호스트의 3000번 포트와 바인딩 Grafana의 설정파일인 grafana.ini는 호스트에서 주입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읽기전용 설정 Grafana의 로컬 데이터 저장 경로를 확인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