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gitlab 잔디옮기기
- Avast Security
- Avast 구독취소
- Window redis-cli
- Redis
- putty Inactive
- 직장인인강
- 환급챌린지
- 패스트캠퍼스
- ERR unknown command 'JSON.GET'
- 패캠챌린지
- redis cli
- 캐시백챌린지
- 직장인자기계발
- aws
- 잔디이전
- redis-cli
- nodemailer
- elastic cache
- ERR unknown command 'JSON.SET'
- AWS S3 버킷 삭제
- AWS S3 계정이동
- AWS S3 migration
- 패스트캠퍼스후기
- 캐시백
- Ngrinder Docker
- aws s3
- 한 번에 끝내는 AWS 인프라 구축과 DevOps 운영 초격차 패키지 Online
- vscode
- RedisJSON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Architecture (1)
Developing

Relational Database - AWS RDS를 활용한 부하분산 아키텍쳐를 고안하다가 다른 방향으로 전환하였는데 기존에 정리해둔 내용을 노션에 묵혀두기 아까워서 약간의 내용을 가져와서 오랜만에 포스팅을 할까한다. Goal 대부분의 Database Application에서 Read와 Write의 비율은 100:1 ~ 10000:1 가량이다. 트래픽이 급증하면 1대의 데이터베이스에 읽기(Read) / 쓰기(Write,Update,Delete)처리 요청시 많은 부하가 발생. Primary DB에 write, Secondary DB에 Read 하도록 트래픽 분산처리를 적용하기 위한 고민. 비슷한 Terminology - Primary DB StandBy DB(Read도 불가능한 복제본 DB를 지칭하는 느..
Architecture
2023. 6. 19. 2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