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putty Inactive
- 환급챌린지
- Avast 구독취소
- redis-cli
- 직장인자기계발
- 캐시백챌린지
- gitlab 잔디옮기기
- vscode
- 잔디이전
- nodemailer
- Redis
- 직장인인강
- 패스트캠퍼스
- 한 번에 끝내는 AWS 인프라 구축과 DevOps 운영 초격차 패키지 Online
- aws s3
- aws
- ERR unknown command 'JSON.GET'
- 패캠챌린지
- RedisJSON
- Ngrinder Docker
- redis cli
- 캐시백
- Avast Security
- AWS S3 계정이동
- AWS S3 migration
- 패스트캠퍼스후기
- AWS S3 버킷 삭제
- ERR unknown command 'JSON.SET'
- Window redis-cli
- elastic cache
- Today
- Total
목록Devops (68)
Developing

Docker에 관련된 클립들을 수강하는식으로 챌린지를 진행하였다. 기존에 Docker는 Docker Desktop을 활용해서 Docker Command를 사용해보거나 단기인턴할때 컨테이너 오가는정도로 잠깐 다루었었는데, Dockerfile도 직접 만들 수 있어서 좋았던 것 같다. 다음 포스팅은 nginx를 Docker와 활용하는 포스팅을 올리게 될 것 같다. Docker 개요 문제점 ⇒ 개발 환경을 그대로 복제해서 같은 환경에서 배포하고 싶다. ⇒ 같은 서버에서 개발 환경을 여러개로 분리하고 싶다. 가상환경 ⇒ 하나의 서버 내에서 프로그램별로 환경을 확실하게 구분해준다. ⇒ 그러나 비효율성이 생긴다. ⇒ 각 가상환경별로 컴퓨팅 파워를 나누어서 쓴다 Docker ⇒ 컨테이너 형태로 환경을 구분해준다. ⇒ ..

django의 Session 활용하는 내용에 대한 클립들을 수강하는식으로 챌린지를 진행하였다. Session의 경우 서버에 저장되어 느리다는 장점을 Redis DB를 쓰면 보완할 수 있다고한다. 추후에 Redis에 관한내용도 다루어줄 것이라 생각한다.(장바구니같이 credential하지 않은 데이터는 쿠키로 , 개인정보같이 credential한 부분은 Session으로 관리한다.) Insomnia로 post방식으로 db에 추가해가면서 Django의 session을 request하면서 다루어보는식으로 진행하였다. django의 경우 request.session['param'] 같은 식으로 session을 심어주는 것 같았다. 한편 AWS과금 측정이 왜 많이 되었는가에 대해 이유를 예측해볼 수 있을 것 같다..

오토스케일링과 관련된 클립을 수강하는식으로 챌린지를 진행하였다. 기존에는 AMI에서 이미지를 생성해주는 정도의 내용만을 다루었는데, 이후의 내용부터는 깊게 이미지가 왜 필요한지, docker가 왜 필요한지에 다룰 예정이라 하니 마음이 놓이게된다. 사실 강의에서 Instance정도만 바로바로 삭제해주면 과금이 발생하지 않을 것 처럼 많이 언급하여서 번거로워도 자주 삭제해주면서 크게 결제 대시보드를 체크하고있지는 않았는데, 생각보다 청구금액이 많이 발생해서 크레딧 받는방법을 열심히 알아보고있다..^^;;; 다른 블로그를 참고해보면서 과금이 될만한 요소를 지금은 싹 정리해주었지만 프리티어 사용량은 넘지않았는데도 청구된것을 보면 결제일에 가봐면 더 명확해질 것 같다. github student pack방식으로 ..

Nginx에 관한 클립을 수강하는식으로 챌린지를 진행하였다. Nginx는 한번쯤 꼭 개인적으로도 다루어보고 싶었던 내용인데 실습까지 할 수 있어서 좋았던 것 같다. 다만 처음 사용해보는거라 "sudo service nginx restart"가 한방에 안먹었을때 살짝 긴장했었는데, 구글링도해보고 메세지대로도 쳐보면서 잘 해결하였다.ㅎㅎ;; 그리고 config 파일 수정할때도 문제가 살짝있어서 해당 내용을 찾아서 진행해주었다. 다음 포스팅은 AWS Autoscaling Group과 AMI에 관한 포스팅을 할 예정이다. 만약에 EC2 100개가 있을것이라고 가정해본다면, 기존처럼 python manage.py ...해서 서버구동해주는 작업을 각각의 EC2마다 해야한다. 그렇게 일일이 작업을 하지 않아도 쉽게 ..

AWS Cloudfront와 CDN과 관련된 클립을 수강하는식으로 챌린지를 수행하였다. 단기 인턴할때에 어느정도 많이 찾아보던 내용들이라 쉽게 이해가 갔었던 것 같다. 어느덧 4주차에 접어들었고 다음주에 중간미션과 관련된 포스팅도 따로 하게 될 것이다. 다음 포스팅은 Nginx/Gunicorn/Supervisor에 관한 포스팅을 할 예정이다. Http웹 페이지의 정보를 웹 서버에 전송요청하는 프로토콜클라이언트와 서버가 통신할 때, 정보를 있는 그대로 전송보안에 취약 HttpsHTTP에 암호화 기능을 추가암호화 기능이 추가되었으므로 보안성이 좋음그러나 느림서버 보안인증서를 발급받아야 함. AWS CloudfrontCloudfront는 Cache와 CDN의 기능을 제공한다.기본적으로는 Cache 서버Ca..

ALB Rule에 관련된 내용의 클립을 복습하고 다른 클립들을 수강하는식으로 챌린지를 진행하였다. Domain 관련된 내용은 단기 인턴할때 잠깐 설명을 들었는데, 예전에는 '도메인주소 그냥 사면 그만아닌가..?' 하고 생각했던적도 있었다.(사용자가 Domain 주로 트래픽쏴줌)~(로드밸런서로 보내줌)~(EC2로 보내줌)~(Response 다시 보내줌) 같은 process를 dns에 관련된 여러 클립을 통해서 어떤식으로 동작하는지 잘 짚고 넘어갈 수 있었던 것 같다.dns 관련된 내용은 가볍게만 이 포스팅에서만 다룰 것 같고 다음 포스팅은 AWS Cloudfront와 CDN에 관련된 포스팅을 할 예정이다. ALB RuleEC2 그룹이 서비스마다 Target group으로 묶여 각각 다른 서버들을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