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직장인인강
- aws
- Window redis-cli
- Ngrinder Docker
- 패스트캠퍼스후기
- 직장인자기계발
- RedisJSON
- 패캠챌린지
- putty Inactive
- ERR unknown command 'JSON.GET'
- 환급챌린지
- 캐시백
- vscode
- 패스트캠퍼스
- AWS S3 계정이동
- redis-cli
- 캐시백챌린지
- elastic cache
- ERR unknown command 'JSON.SET'
- redis cli
- AWS S3 migration
- AWS S3 버킷 삭제
- gitlab 잔디옮기기
- Avast Security
- 한 번에 끝내는 AWS 인프라 구축과 DevOps 운영 초격차 패키지 Online
- aws s3
- Redis
- nodemailer
- Avast 구독취소
- 잔디이전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101)
Developing

Hoisting javascript에서 Hoisting이란 인터프리터가 변수와 함수의 메모리 공간을 선언 전에 미리 할당하는 것을 의미한다. (hoist 라는 용어는 '감아 올린다'라는 말을 내포하고 있다.) C에 대한 경험이 있다면 C는 순차적인 언어(Procedural Language)이기에 함수의 원형 (Prototype)을 가장 윗부분에 선언해주었던 기억이 있을 것이다. Javascript에서는 함수 선언 전에 해당 함수를 호출한다고 하였을 때, 이미 Hoisting으로 해당 함수에 대한 정보가 있기에 에러를 발생시키지 않고 함수가 실행이 된다. 또한 변수의 경우에도 선언 이전의 변수에 대해 console.log를 찍어본다고 가정하면, 에러가 발생하지 않는다. 위의 예제는 호이스팅으로 인해 아래의..

Git command를 사용하던 도중 다음과 같은 상황에 봉착하였다. 1. git add . 을 사용해서 수정한 내용들을 한방에 편리하게 커밋에 올리고 싶은데, 이 경우에는 Untracted file까지 staging화 되어 올라간다 2. 하지만 일일이 "git add 단일파일" 을 쓰기는 싫다. 그래서 방법을 찾아왔다.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7124726/git-add-only-modified-changes-and-ignore-untracked-files#comment46898677_7124760 # 현재 디렉토리 기준으로 모든 내용을 변경사항에 반영한다. # Untracked file들도 전부 staging화 된다. git add . # Changes not..

커밋을 날리려고 Git status 명령어를 입력해보는 와중에 한글파일이 깨지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럴때 core.quotepath 설정을 아래의 command와 같이 false로 조작해주면 된다. git config --global core.quotepath false git 관련문서를 확인해보면 특정 바이트를 넘어가는 경우에 "unusual"case로 간주되기 때문이라고 한다. 해당 옵션을 false로 해주면 잘 표기될 것이다!

66일 동안 fastcampus devops 강좌에 대해 1일 1블로깅하는 챌린지 이벤트에 참여해 주말/공휴일 없이 매일매일 하루도 빠짐없이 참여해야 했다. 결국엔 성공해냈다! 최종미션으로 4000자 이상의 포스팅을 해야 하는데...막막해 보이지만 천천히 적어보려고 한다.Devops 분야에 대해 관심을 가지게 된 계기는 중간미션에서 많이 얘기하였으니 다른 얘기들로 적어보려고 한다. 1. [포스팅에 대한 고뇌와 노력] 2. [강좌에 대한 고뇌와 노력] 3. [챌린지를 위해 포기한 것과 얻은 것/깨달은 것] 4. [향후 블로그의 방향성] 5. [강좌 후기와 선수지식] 포스팅에 대한 고뇌와 노력 우선 챌린지 포스팅은 공백 미포함 기준 700자 이상을 적어야 했는데, 최소 글자 수에 맞추려고 하기보다는 '최대한..

Job과 CronJob API Resource와 관련된 내용의 클립을 수강하는식으로 챌린지를 진행하였다. k8s에서 사용하는 크론잡이 리눅스의 내용과 많이 겹친다고 한다. 4월부터 시작된 기나긴 챌린지가 드디어 막을 내리게 되었다. 다음주안으로 최종미션 포스팅을 올리고 종결짓게 될 것 같다..!! 잡(Job) 특정 동작을 수행하고 종료하는 작업을 정의하기 위한 리소스 내부적으로 파드를 생성하여 작업 수행 Pod의 상태가 Running이 아닌 Completed가 되는 것이 최종 상태 실패시 재시작 옵션, 작업 수행 회수, 동시 실행 수 등 세부 옵션 제공 ⇒ 지속적으로 실행되는 서비스가 아니라 특정 작업을 수행하고 종료해야 하는 경우에 사용 크론잡 주기적으로 특정 동작을 수행하고 종료하는 작업을 정의하기 ..

Namespace API Resource와 관련된 내용의 클립을 수강하는식으로 챌린지를 진행하였다. 드디어 내일이면 기나긴 챌린지의 끝이다! Namespace는 label처럼 분류기능뿐 아니라 권한관리나 리소스 제한 기능도 있음을 알게되었다. 다음 포스팅으로는 Job/CronJob 과 관련된 내용을 포스팅할 예정이다. 네임스페이스(Namespace) 리소스를 논리적으로 나누기 위한 방법 제공 (논리적 그룹) 네임스페이스의 단위는 사용자 목적에 맞추어 결정 팀 단위 네임스페이스 환경 단위 네임스페이스 서비스 단위 네임스페이스 ⇒ label처럼 분류뿐만 아니라 해당 논리적인 그룹에 대하여 권한 관리, CPU / Memory 등 리소스 제한 가능 ⇒ 쿠버네티스 상의 API 오브젝트들을 논리적으로 구분하여 관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