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직장인인강
- gitlab 잔디옮기기
- Window redis-cli
- Avast 구독취소
- ERR unknown command 'JSON.GET'
- 직장인자기계발
- 환급챌린지
- aws s3
- 패캠챌린지
- Ngrinder Docker
- Avast Security
- 잔디이전
- nodemailer
- AWS S3 migration
- putty Inactive
- AWS S3 계정이동
- aws
- 패스트캠퍼스후기
- elastic cache
- redis cli
- 패스트캠퍼스
- ERR unknown command 'JSON.SET'
- RedisJSON
- Redis
- AWS S3 버킷 삭제
- redis-cli
- 캐시백
- 캐시백챌린지
- vscode
- 한 번에 끝내는 AWS 인프라 구축과 DevOps 운영 초격차 패키지 Online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101)
Developing

2개를 보기에는 강의 내용이 짤막하기에 한 3개정도 복습하고 1개 강의를 보는식으로 챌린지를 진행하였다. (물론 실제로 환경구축했을때에는 문제가 꽤 발생해서 오래걸렸었다) 강의에서는 MacOs BigSur를 기준으로 진행하는데, windows 환경의 구축 환경에 대해서도 따로 알려주게 된다. MacOS의 경우 homebrew 패키지매니저를 사용하고, Windows의 경우 wsl2 + ubuntu server 20.04 LTS + apt 패키지매니저를 사용하는 식이다. 설치하다가 문제 발생시 구글링을 통해서 해결했었는데, 나중에 강의에서 제공하는 Github discussion에 들어가 확인해보니 다른 사람들과 겹치는 문제가 몇개 있었던 것 같아서 먼저 확인하는게 좋았을 것 같다는 생각을 하였다. 단기 인..

마찬가지로 기존에 들었던 강의 2개 복습 및 블로깅 + 새로운 강의 1개를 듣는 식으로 챌린지를 진행하였다. Devops의 업무도메인과 Devops의 핵심지표들을 알 수 있었으며, Developer Roadmap에서 Devops Engineer의 Roadmap을 같이 보면서 핵심영량들의 Skill Set을 확인하였다. 그 외에 devops engineer로 Junior를 채용하는 것에 대한 생각을 말씀해주셔서 크게 와닿았던 것 같다. Devops vs DevOps 엔지니어 데브옵스 엔지니어는 조직에 데브옵스 문화를 정착시키는데 도움을 주는 역할이다. ⇒ 개발자가 개발 뿐만 아니라 운영에도 참여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준다. 개발자가 테스트,빌드,관측을 하려면 환경을 구축해야하는데 이에 시간을 투자하는 것..

Fastcampus에서 진행중인 캐시백 챌린지 이벤트에 참가하게 되어 한 번에 끝내는 AWS 인프라 구축과 Devops 운영 초격차 패키지 강좌에 대해 1일 1 블로깅 챌린지를 시작하게 되었다. 챌린지 신청일과 시작일 사이에 약간의 텀이 존재하기에 이미 수강한 내용은 2개정도씩 묶어서 다시 보고 블로깅하고 새로운 강의 1개를 매일 보는 식으로 진행할 예정이다. 온라인필기는 Notion을 자주 애용하여 Notion을 계속 사용할 것이다. 박병진 강사님 소개 현 당근페이 SRE 업무담당 그 외 github opensource Awesomecv, 해킹방어대회 defcon 참여 등.. 박병진 강사님과는 devops 기본 강의준비,Iac,도커/쿠버네티스 강의에서 만날 예정 강의 자료&질문응답 안내 Github 저..

메모장에 슥슥 적으면서 타이핑해놨다가 노션에다가 저장해놨던 내용들.. 김*현님 kendra button open source해보심.. 공부에 대한 기록 남기는것 중요 SRE를 왜 하게 되었는가? 기존 원하던 직무는 Backend 개발~ but 배포까지의 관심.. aws의 각 서비스들을 플랫폼을 통해 배포하며 재미.. Gitlab CI CD devops infra 분야 열려있어서 기존 빽에서 커리어전환 고민하고 부족한부분 채워줄 수 있고 팀에 합류... SRE 합류한 후 성장해감..몇달동안 부족한 부분 찾아보며 기록하며 노션에 정리해서 관리.. 구성원들이 한마디씩이라도 할 수 있도록 말 없는 직원에게 질문.. 관련 지식이 없어서 질문 못하는게 싫어서 더 열심히 공부.. 회의에서 한마디라도 하고싶다해서 더 ..

관련건에 대해서 가장 잘 설명을 잘해주신 영상의 링크는 다음과 같다. 본 게시물은 해당 영상의 방법으로 진행한다. www.youtube.com/watch?v=3-PD_AUSOLM&ab_channel=%EB%9D%BC%EC%A6%88%EC%9D%B4%EB%85%B8IOT 1. VSCode를 설치한다. 2.VSCode의 왼쪽 메뉴바에서 맨밑의 Extensions 메뉴를 선택한 후, c를 검색한다. 3.Extension을 Install 해준다. 4.아래 사이트에 접속해 MinGW를 Download 후 Install해준다. sourceforge.net/projects/mingw/files/ 4가지 항목에 대해서 오른쪽마우스 클릭->Mark for Installaion -> 위의 메뉴바에서 Install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