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ing

패스트캠퍼스 캐시백 챌린지 10일차 본문

Devops/Fastcampus 캐시백 챌린지

패스트캠퍼스 캐시백 챌린지 10일차

DEV_BLOG 2022. 4. 27. 16:09

 

수강 인증샷

 

AWS에서 VPC , public-private Subnet을 만들어보는 실습관련 클립을 복습하고 새로운 클립을 수강하는식으로 챌린지를 진행하였다. 이론으로 배운 내용에 대해 직접 AWS에서 설정을 해보는 과정을 거치면서 Public Cloud에 대해 잘 모르던 부분들을 하나씩 잘 배워갈 수 있는 것 같다. 내일은 AWS에서 라우팅 테이블과 인터넷 게이트웨이 생성하는 설정에 대해 포스팅할 예정이다.

 

 

VPC 생성

VPC를 만들지 않은 상태에서는 기본적으로 default로 설정된것이 하나있다. 이 경우 기본 VPC 란에서는 ‘예’라고 표기되어있다.

 

 

태그는 자동으로 이름태그에 적어준 것으로 설정되며, VPC 생성을 눌러주면 VPC가 생성된다.

 

VPC를 생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서브넷을 가보면 기존 default vpc에 대한 서브넷만 있다.(VPC ID를 보면 알 수 있음)

이것을 통해 VPC를 만들어준다고해서 서브넷이 자동으로 생성되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VPC를 만든다고해서 igw,엔드포인트,NAT gateway가 자동으로 설정되지않기해 별도로 설정을 해주어야한다. 하지만 NACL 같은 경우에는 VPC를 생성하면 자동으로 생성된다.

 

 

서브넷 생성

 

 

서브넷 생성 버튼을 눌러준다.

 

 

아까 만들어준 VPC를 연결시켜주고, 서브넷 이름은 public subnet으로 지어준다.

가용 영역으로 2a지역을 선택해준고, CIDR 블록으로는 10.0.0.0/24 를 걸어주었다.

 

public subnet이 생성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vpc를 연결해주고, 서브넷 이름은 private subnet으로 지어준다.

기용영역으로 이번에는 2c를 선택하고, CIDR 블록은 10.0.1.0/24 를 해준다.

CIDR 10.0.0.0/24은 public subnet에서 사용하는 것으로 걸어주었기에 다르게 걸어주는 것이다.

 

public subnet , private subnet을 하나씩 만들어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위의 과정을 끝마친 내용의 결과물은 이러하다. NACL은 자동적으로 생성되는 부분이다. 아직 Gateway에 대한 설정부분은 해주지 않은 상태이다.

 

 

https://bit.ly/3L3avNW

 

패스트캠퍼스 [직장인 실무교육]

프로그래밍, 영상편집, UX/UI, 마케팅, 데이터 분석, 엑셀강의, The RED, 국비지원, 기업교육, 서비스 제공.

fastcampus.co.kr

 

*본 포스팅은 패스트캠퍼스 환급 챌린지 참여를 위해 작성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