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1 | 2 | 3 | 4 | |||
| 5 | 6 | 7 | 8 | 9 | 10 | 11 |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 26 | 27 | 28 | 29 | 30 | 31 |
- Window redis-cli
- 패스트캠퍼스후기
- 직장인자기계발
- AWS S3 버킷 삭제
- vscode
- elastic cache
- 패스트캠퍼스
- RedisJSON
- 잔디이전
- 직장인인강
- aws s3
- redis cli
- Ngrinder Docker
- putty Inactive
- 캐시백챌린지
- gitlab 잔디옮기기
- 한 번에 끝내는 AWS 인프라 구축과 DevOps 운영 초격차 패키지 Online
- aws
- 캐시백
- AWS S3 계정이동
- 환급챌린지
- Avast 구독취소
- AWS S3 migration
- redis-cli
- ERR unknown command 'JSON.SET'
- nodemailer
- Avast Security
- ERR unknown command 'JSON.GET'
- 패캠챌린지
- Redis
- Today
- Total
Developing
패스트캠퍼스 캐시백 챌린지 7일차 본문

네트워크에 관한 강의 복습 + aws 실습클립을 1개 수강하는 방식으로 챌린지를 진행하였다.
본래 네트워크에 관한 공부를 따로 해야겠다고 생각하고 있었는데, 해당 강좌에서 깔끔하게 설명해주셔서 쉽게 이해된 것 같다.
어느덧 Fastcampus 캐시백 챌린지 7일차에 접어들어 포스팅을 제출하게 되었는데, 66일에 비해서 짧은 기간이지만 여러모로 뿌듯함이 남는다.^^
보통 개발관련된 것은 검색하고 정리해놨다가 Notion에 보관해두고 필요할 때 참고하고는 했었는데, 이번 챌린지를 통해서 블로깅을 자주하는 계기가 만들어지면서 게시글이 풍성해질 것 같다.
기나긴 여정 중에서 첫 주가 무사하게 마무리 되었는데 남은 주도 화이팅해보도록..
네트워킹의 기본
- 컴퓨터 사이에 통신을 하려면 컴퓨터의 위치값을 알아야 한다.
- 각 컴퓨터의 위치값(주소)을 IP주소라고 지칭한다(IPV4)
172 . 16 . 254 . 1
⇒ 10101100 . 00010000 . 11111110 . 00000001
⇒ 각 점 사이의 숫자를 옥텟이라고 표현한다.
⇒ 각 옥텟은 8비트의 숫자로 이루어져있다.
⇒ 전세계의 IPV4 는 2^32 개가 실제 존재하는 총 IP의 갯수이다. (42억)
⇒ 42억개로는 IP 갯수가 부족함..
⇒ 서브넷이라는 개념이 나온다. (나눠서 쓰자!)
IPV4 Class
A class 0———- . ———— . ———— . ————-
B Class 10——— . ———— . ———— . ————
C Class 110——- . ———— . ———— . ————
- 첫번째 옥텟의 앞자리 숫자들을 바탕으로 Class들을 구분한다.
- D , E 클래스도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잘 안쓰기에 3가지만 살펴본다.
A Class
0———- . ———— . ———— . ————-
첫 번째 옥텟의 클래스 식별자 비트를 제외한 7비트: Network bit (IP주소가 어떤 네트워크에 포함되어있는 지를 지칭함)
나머지 3개의 옥텟의 비트: Host bit(특정 네트워크안의 Host들을 표현함)
- 1개의 네트워크가 2^24개의 ip를 보유
- 이런 네트워크가 2^7개만큼 있음
- 하나의 네트워크가 Size가 굉장히 크다. (2^24개의 IP를 보유하기 때문에)
- 네트워크의 갯수는 상대적으로 적다고 볼 수 있음
B Class
10——— . ————- . ———— . ————-
첫번째 옥텟의 클래스 식별자 비트를 제외한 두번째 옥텟까지의 14비트 : Network bit
나머지 2개의 옥텟의 비트 : Host bit
- 1개의 네트워크가 2^16개의 ip를 보유
- 이런 네트워크가 2^14개만큼 있음
- A Class보다 네트워크의 크기는 적지만 그 갯수가 늘어났다.
C class
110—— . ———— . ———— . ————
첫번째 옥텟의 클래스 식별자 비트를 제외한 세번째 옥텟까지의 21비트 : Network bit
나머지 1개의 옥텟의 비트 : Host bit
- 1개의 네트워크가 2^8개의 ip를 보유
- 이런 네트워크가 2^21개만큼 있음
- Network의 size는 적지만 그 갯수가 많다.
서비스의 규모와 특징에 따라 A/B/C Class를 사용하는지가 나뉘게 된다.(국가단위는 A)
예를 들어 211 . 11 . 124 . 2 는 C Class이며,
211 . 11 . 124 . 0 ~ 211 . 11 . 124 . 255 IP대역까지는 같은 네트워크에 속한다고 볼 수 있다.
서브넷
- Subnet A
211 . 11 . 124 . 0 ( 11010011 . 00001011 . 01111100 . 00000000 )
...
211 . 11 . 124 . 127 ( 11010011 . 00001011 . 01111100 . 01111111 )
- Subnet B
211 . 11 . 124 . 128 ( 11010011 . 00001011 . 01111100 . 10000000 )
...
211 . 11 . 124 . 255 ( 11010011 . 00001011 . 01111100 . 11111111 )
빨간부분만 변동되고 두 서브넷의 차이점은 앞의 비트가 0인지, 1인지 여부이다.
Subnet A , B에 해당하는 IP를 CIDR 블록이라는 표기방식으로 쉽게 표현할 수 있다.
서브넷 A
⇒ 211 . 11 . 124 . 0 /25
서비스 B
⇒ 211 . 11 . 124 . 128 /25
- / 앞부분 : 특정 서브넷의 첫번째 IP 주소를 적음
- 고정되어있는 비트만 총 몇비트인지 갯수를 적어준다.
위와 같은 예시는 하나의 네트워크에서 서브넷을 2개로 나눈 예시이다.
서브넷을 4개로 나눈 예시는 다음과 같다.
211 . 11 . 124 . 0 ( 11010011 . 00001011 . 01111000 . 00000000 )
...
211 . 11 . 124 . 63 ( 11010011 . 00001011 . 01111000 . 00111111 )
⇒ 211 . 11 . 124 . 0/26
211 . 11 . 124 . 64 ( 11010011 . 00001011 . 01111000 . 01000000 )
...
211 . 11 . 124 . 127 ( 11010011 . 00001011 . 01111000 . 01111111 )
⇒ 211 . 11 . 124 . 64/26
211 . 11 . 124 . 128 ( 11010011 . 00001011 . 01111000 . 10000000 )
...
211 . 11 . 124 . 191 ( 11010011 . 00001011 . 01111000 . 10111111 )
⇒ 211 . 11 . 124 . 128 /26
211 . 11 . 124 . 192 ( 11010011 . 00001011 . 01111000 . 11000000 )
...
211 . 11 .124 . 255 ( 11010011 . 00001011 . 01111000 . 11111111 )
⇒ 211 . 11 . 124 . 192/26
패스트캠퍼스 [직장인 실무교육]
프로그래밍, 영상편집, UX/UI, 마케팅, 데이터 분석, 엑셀강의, The RED, 국비지원, 기업교육, 서비스 제공.
fastcampus.co.kr
*본 포스팅은 패스트캠퍼스 환급 챌린지 참여를 위해 작성되었습니다.
'Devops > Fastcampus 캐시백 챌린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 패스트캠퍼스 캐시백 챌린지 9일차 (0) | 2022.04.26 |
|---|---|
| 패스트캠퍼스 캐시백 챌린지 8일차 (0) | 2022.04.25 |
| 패스트캠퍼스 캐시백 챌린지 6일차 (0) | 2022.04.23 |
| 패스트캠퍼스 캐시백 챌린지 5일차 (0) | 2022.04.22 |
| 패스트캠퍼스 캐시백 챌린지 4일차 (0) | 2022.04.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