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ops/Fastcampus 캐시백 챌린지

패스트캠퍼스 캐시백 챌린지 3일차

DEV_BLOG 2022. 4. 20. 15:37

 

 

 

수강 인증샷

 

 

2개를 보기에는 강의 내용이 짤막하기에 한 3개정도 복습하고 1개 강의를 보는식으로 챌린지를 진행하였다.

(물론 실제로 환경구축했을때에는 문제가 꽤 발생해서 오래걸렸었다)

 

강의에서는 MacOs BigSur를 기준으로 진행하는데, windows 환경의 구축 환경에 대해서도 따로 알려주게 된다.

MacOS의 경우 homebrew 패키지매니저를 사용하고, 

Windows의 경우 wsl2 + ubuntu server 20.04 LTS + apt 패키지매니저를 사용하는 식이다.

 

설치하다가 문제 발생시 구글링을 통해서 해결했었는데, 나중에 강의에서 제공하는 Github discussion에 들어가 확인해보니 다른 사람들과 겹치는 문제가 몇개 있었던 것 같아서 먼저 확인하는게 좋았을 것 같다는 생각을 하였다.

 

단기 인턴할때 windows에서 이런 기능도 쓸 수 있다고 들어봤던것을 이번에 실제로 활용할 수 있는 기회가 된 듯 하다.

 

 

WSL(Windows Subsystem for Linux) 소개

  • 윈도우에서 ELF64바이너리를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

⇒ (리눅스에서는 elf라는 실행파일 바이너리 제공)

  • 쉽게 설명하면 윈도우에서 사용가능한 리눅스 환경
  • 여러 리눅스 배포판을 지원 : Ubuntu, Debian, Alpine, Fedora , ...

 

WSL 사용 설정: Windows 기능 활성화

  • DISM (Deployment Image Servicing and Management)

⇒ 윈도우 이미지와 관련된 조작을 위한 커맨드라인 명령어

 

1. Powershell을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한 뒤(Run as Administrator) 다음과 같은 Command를 입력한다.

dism.exe /online /enable-feature /featurename:Microsoft-Windows-Subsystem-Linux /all /norestart
dism.exe /online /enable-feature /featurename:VirtualMachinePlatform /all /norestart

2. 재부팅을 진행한 뒤 wsl 명령어를 입력하여 동작을 확인한다.

 

3. Microsoft Store에서 Ubuntu 20,04 LTS를 검색하여 설치한다.

 

4. ubuntu를 실행해 운영체제에서 사용할 username,password를 입력한다.

 

5. ubuntu shell의 정상적인 접속을 확인한다.

 

6. windows powershell에서 wsl이 잘 설치되었는지 확인한다.

wsl -l -v

NAME              STATE      VERSION
Ubuntu-20.04      Running       1

7.  WSL2로 Version을 업그레이드하기 위해서는 리눅스 커널 업데이트를 설치해야한다.         https://wslstorestorage.blob.core.windows.net/wslblob/wsl_update_x64.msi

 

8. WSL2로 변환하기 위해 powershell에서 다음과 같은 command를 입력해준다.

wsl --set-version Ubuntu-20.04 2

9. Version을 확인해보면 변경사항을 확인할 수 있다.(Stopped 된것을 Running해주려면 wsl을 한번 입력해주면 재시작된다.)

wsl -l -v

NAME              STATE      VERSION
Ubuntu-20.04      Stopped       2

10. WSL2를 기본으로 사용하도록 하는 Command는 다음과 같다.

wsl --set-default-version 2

 

Windows Terminal 설치

  • 2020년에 출시된 새로운 윈도우 터미널인데 다중탭을 지원해주고, ssh,wsl 등도 같이 사용가능하다.

⇒ 단순히 cmd,powershell을 사용하는 것보다 많은 기능을 제공하기에 추천한다고 한다.

  • 단순히 Microsoft Store에서 Terminal을 검색해 설치한다.

 

그 외에 개인적으로 Bootcamp로 Windows를 사용중이기에 별도의 Setting은 다음과 같다.

전원+Alt ⇒ MacOs 부팅 ⇒ System 환경설정 ⇒ 구동 디스크 Windows로 재시동

이렇게 해주어야 WSL2로 업그레이드 설치시 가상화 설정에 문제가 없게된다.

 

 

AWS 소개

  • Cloud Computing 분야 독보적 1위 회사
  • Public Cloud 사용하다보면 타 클라우드 업체와의 시장 생태계 차이를 체감할 수 있다.
  • 2021년 8월 기준 190개 이상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 탄력적 종량 과금제 방식을 사용한다.
  • 실습시 Region Seoul로 해놓고 사용하면 된다.

⇒ EC2 / EBS : 초당 요금 부과

⇒ Lambda : 밀리초당 요금 부과

 

 

AWS API & SDK 도구

  • API 중심의 서비스 설계

⇒ AWS의 거의 모든 기능이 API로 제어 가능하다.

⇒ 다양한 언어 별 SDK 클라이언트 제공

⇒ AWS 웹 관리콘솔도 동일 API를 이용하여 구성

 

 

https://bit.ly/3L3avNW

 

패스트캠퍼스 [직장인 실무교육]

프로그래밍, 영상편집, UX/UI, 마케팅, 데이터 분석, 엑셀강의, The RED, 국비지원, 기업교육, 서비스 제공.

fastcampus.co.kr

*본 포스팅은 패스트캠퍼스 환급 챌린지 참여를 위해 작성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