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ops/Fastcampus 캐시백 챌린지

패스트캠퍼스 캐시백 챌린지 36일차

DEV_BLOG 2022. 5. 23. 18:28

 

 

수강 인증샷

AWS Fargate를 활용하여 Docker Container를 배포하는 클립을 수강하는식으로 챌린지를 진행하였다.

AWS Fargate 서비스를 활용하면 초기에 이미지를 생성할때는 EC2로 해주거나 하겠지만, 그 이후부터는 ECR에 docker image 올려주어 ECS에서 작업을 설정한뒤 실행해주면 번거롭게 EC2마다 접속할필요없는 편리함이 있다고 한다.(아직은 container 하나정도 띄우는거라 그렇게 체감은 안된다.) 다음 포스팅은 AWS Cli에 관한 포스팅을 할 예정이다.

 

 

 

지난번에 ECR에 도커 이미지를 올리는 것 까지 해보았는데, 이제 ECS 클러스터를 활용하고자 한다.

클러스터 생성 → 작업 생성 → 작업 실행 순으로 진행한다.

 

AWS Fargate을 통한 배포

 

 

클러스터를 생성하려는 목적이 EC2를 사용하지 않고 오직 AWS의 Fargate 서비스를 이용해 진행하려는 것이기에 네트워크 전용을 선택하고 다음 단계로 넘어가준다.

 

 

클러스터를 생성을 해준다!

 

 

클러스터가 완성되면 ECS 인스턴스 항목을 확인할 수 있다. 이 항목은 EC2와 동일한 기능이라고 간주하면 된다.

 

 

 

새 작업 정의 생성을 선택하여 작업을 생성한다.

 

 

 

가장 간단한 방식인 fargate을 선택해준다. EC2는 기존처럼 EC2에 docker 올리고 하는 방식이고, external은 aws rds같은 서비스를 사용하면 택해주는 것이다. 오직 EC2 활용없이 Fargate만을 활용할 것이기에 선택 후 넘어가준다.

 

 

 

EC2 를 활용하면 각각의 컨테이나 작업 메모리/CPU를 섬세하게 결정하기에는 한계가 있다고 한다. Fargate을 활용하면 위와같이 관리적인 측면에서 편리해진다. 컨테이너 추가를 선택해준다.

 

 

ECR에 push해둔 이미지URI를 붙여넣고, 컨테이너 추가를 한뒤에 생성을 마친다.

 

 

 

생성한 작업을 작업→작업실행을 통해 실행해준다.

 

 

 

 

 

vpc와 서브넷은 디폴트로 되어있는 것들을 선택해주고, 보안그룹설정은 기존에 8000포트로 열어주는 설정이 있는 보안그룹을 해주면 된다.

 

 

처음에 이미지를 만들기 위해서는 데스크탑이나 EC2에 접속을 해서 작업을해야하지만,

이미지를 뿌리거나 배포할때는 일일이 EC2에 접속해서 하기에는 번거롭고 AWS에서 자체적으로 제공해주는 이미지 기능을 사용한다 하더라도 관리를 해주는 것이기에 번거로운 작업인데, AWS에서 ECS만을 활용해도 관리가 쉬워지게 된다.

 

 

 

 

 

https://bit.ly/3L3avNW

 

패스트캠퍼스 [직장인 실무교육]

프로그래밍, 영상편집, UX/UI, 마케팅, 데이터 분석, 엑셀강의, The RED, 국비지원, 기업교육, 서비스 제공.

fastcampus.co.kr

*본 포스팅은 패스트캠퍼스 환급 챌린지 참여를 위해 작성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