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스트캠퍼스 캐시백 챌린지 31일차
django의 Session 활용하는 내용에 대한 클립들을 수강하는식으로 챌린지를 진행하였다. Session의 경우 서버에 저장되어 느리다는 장점을 Redis DB를 쓰면 보완할 수 있다고한다. 추후에 Redis에 관한내용도 다루어줄 것이라 생각한다.(장바구니같이 credential하지 않은 데이터는 쿠키로 , 개인정보같이 credential한 부분은 Session으로 관리한다.) Insomnia로 post방식으로 db에 추가해가면서 Django의 session을 request하면서 다루어보는식으로 진행하였다. django의 경우 request.session['param'] 같은 식으로 session을 심어주는 것 같았다.
한편 AWS과금 측정이 왜 많이 되었는가에 대해 이유를 예측해볼 수 있을 것 같다..^^;; RDS 잘 적용안될때 생각해보면 RDS 만들때 실수로 프리티어설정을 안해주고 고성능을 선택해주었다던지, 혹은 다쓰고 지울때 자동적으로 스냅샷을 만드는것이 설정되어있는데 "delete me" 입력해주는것에만 신경을 썼던 것 같다.(이게 과금의 원인이 될거라는것은 모르고있었다)
다음 포스팅은 Docker에 관한 포스팅을 올릴 예정이다.
쿠키
- 브라우저에 저장되는 정보
- 유효 시간이 정해져 있고, 해당 시간이 지나지 않는다면 브라우저를 꺼도 유지
- 클라이언트에 저장되는 정보이기 때문에, 민감하지 않은 데이터만 쿠키에 저장됨
쿠키 동작 방식
- 클라이언트가 페이지를 요청
- 서버에서 쿠키를 생성
- HTTP 헤더에 쿠키를 포함 시켜 응답
- 같은 요청을 할 경우 HTTP 헤더에 쿠키를 함께 보냄
세션
- 사용자별로 민감하고 중요한 정보를 쿠키 대신 저장해줌
- 사용자를 구분하기 위해 세션 ID를 부여
- 쿠키보다 보안이 좋으나, 사용자가 많아지면 메모리 많이 차지(느림)
세션 동작 방식
-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접속시 세션 ID를 발급받습니다.
- 클라이언트는 세션ID에 대해 쿠키를 사용해서 저장하고 가지고 있습니다.
- 클라이언트는 서버에 요청할 때, 이 쿠키의 세션 ID를 서버에 전달해서 사용합니다.
- 서버는 세션 ID를 전달 받아서 별다른 작업없이 세션 ID로 세션에 있는 클라이언트 정보를 가져옵니다.
- 클라이언트 정보를 가지고 서버 요청을 처리하여 클라이언트에게 응답합니다.
패스트캠퍼스 [직장인 실무교육]
프로그래밍, 영상편집, UX/UI, 마케팅, 데이터 분석, 엑셀강의, The RED, 국비지원, 기업교육, 서비스 제공.
fastcampus.co.kr
*본 포스팅은 패스트캠퍼스 환급 챌린지 참여를 위해 작성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