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스트캠퍼스 캐시백 챌린지 27일차
ALB Rule에 관련된 내용의 클립을 복습하고 다른 클립들을 수강하는식으로 챌린지를 진행하였다. Domain 관련된 내용은 단기 인턴할때 잠깐 설명을 들었는데, 예전에는 '도메인주소 그냥 사면 그만아닌가..?' 하고 생각했던적도 있었다.
(사용자가 Domain 주로 트래픽쏴줌)~(로드밸런서로 보내줌)~(EC2로 보내줌)~(Response 다시 보내줌) 같은 process를 dns에 관련된 여러 클립을 통해서 어떤식으로 동작하는지 잘 짚고 넘어갈 수 있었던 것 같다.dns 관련된 내용은 가볍게만 이 포스팅에서만 다룰 것 같고 다음 포스팅은 AWS Cloudfront와 CDN에 관련된 포스팅을 할 예정이다.
ALB Rule
- EC2 그룹이 서비스마다 Target group으로 묶여 각각 다른 서버들을 이룬다고 가정하자.
- 예를 들어 TG1,TG2가 있으면 Elastic Load Balancer가 동시에 배분할 수 있는 형태일텐데, ALB Rule은 /order로 오면 TG1으로 보내주고, /delivery로 오면 TG2로 path가 설정이되면 TG2로 보내는식으로 설정해주는 규칙이라고 보면된다.
- 따라서 url별로 target group을 따로 설정해줄 수 있는데 이것을 ALB rule이라고 한다.
Sticky Session
- 유저가 로그인을 했으면 login , password를 session에 저장해서 자동로그인이 되도록 설정을 하는등의 작업처리를 할 것이다.
- 이때 로드 밸런싱을 한다고 가정을 했을때 ELB를 거치고 한 EC2로 가서 로그인을해서 Session 값이 바뀌었는데,새로고침하면 다른 서버로 연결될수도있다.. 다시 로그아웃이 되는 현상이 생길 수 있기에 세션값을 EC2에 저장하는게 아니라 로드밸런서에 저장을 하자는 개념이 Sticky Session이다.
ALB Rule 만들어보는 실습
로드 밸런서에서 리스너항목에서 규칙/보기 편집을 선택한다.
규칙 삽입을 선택해준다.
어떤 경로로 들어오는지에 대해서 target group을 다르게 설정해줄 수 있다. 이를테면 /delivery 경로로 들어오면 target group2로 보내는식으로 설정을 해줄 수 있다. Microservice같은 경우에는 이런식으로 많이 추후에 활용해줄 수 있다.
DNS
DNS는 2가지의 절차를 이해하여야 한다.
- Domain 등록 절차
⇒ fast-devops.com(예시도메인)을 특정 ip주소와 링크시켜서 등록시키는 절차
⇒ 등록소는 ip주소가 어떠한 도메인과 링크가 되어있는지 서버형태로 저장한다.
⇒ 등록대행자를 통해 등록을 하면 자동적으로 DNS Server가 생긴다. DNS Server는 url과 어떻게 ip 정보가 링크되어있는지 저장되어있다고 보면된다.
⇒ 또한 등록소의 도메인 서버에 Top level Domain Server에도 등록해준다.
(.com / co.kr 처럼 뒤에 어떤것이 오는지에 따라 등록소가 달라진다.)
⇒ ICANN이라는 국제적으로 IP를 관리하는 기구에 Root name server에 등록한다.
⇒ 정리하면 등록대행자(DNS server) ~ 등록소(Top level domain server) ~ ICANN(Root name server) 과정을 거친다고 보면 된다.
- Client 상에서의 절차
⇒ fast-devops.com 을 입력했을때 어떻게 ip 주소를 찾아가는지에 대한 절차
⇒ ICANN의 Root Name Server에 물어본다. 그리고 .com 에 해당하는 등록소로 보내준다.
⇒ fast-devops.com 이 어떠한 url로 링크가 되어있는지 확인하고 response를 보내준다.
AWS Route53
- 등록대행자에 해당하며 DNS Server를 만들어주는 역할을 한다.
- 등록을 하는데에 3일정도 걸린다. (DNS Server에서 top level domain server에 등록하는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route53서비스를 활용하여 도메인을 등록하기 위해서는 route53 서비스를 검색하여 등록된 도메인 항목으로 이동하고, 도메인 등록을 선택한다.
입력한 도메인이 사용가능한지 여부를 확인하고 장바구니에 추가를 선택하면 등록 년수를 설정할 수 있다. 그 이후에는 약관동의와 정보입력을 해주면 된다.
패스트캠퍼스 [직장인 실무교육]
프로그래밍, 영상편집, UX/UI, 마케팅, 데이터 분석, 엑셀강의, The RED, 국비지원, 기업교육, 서비스 제공.
fastcampus.co.kr
*본 포스팅은 패스트캠퍼스 환급 챌린지 참여를 위해 작성되었습니다.